레이블이 우분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우분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6월 13일

우분투에 오픈솔라리스 nimbus 테마 설치하기

우분투의 기본 테마인 human도 훌륭하지만 오랫동안 우분투를 사용하다보니 파란색 계통의 테마가 그리워지가도 합니다. 그러던 중, 오픈솔라리스의 nimbus 테마가 우분투 용으로 나왔다는 소식을 보고 설치를 해봤습니다. 안타깝게도 gnome-look 사이트에는 Hardy용 파일이 없을 뿐더러, nimbus-icon-theme 의 링크가 깨져서 내려받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소스 설치를 시도했는데 구글의 도움을 받아 어렵지 않게 작업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2008년 5월 12일

우분투 8.04에 iFolder 클라이언트 설치

요즘 노트북에서 수상한(?)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요즘은 주로 문서 작성만 하고, 그것도 전부 웹에서 작성하거나 올려서 보관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안되지만, 그래도 작업 중인 파일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래서 우분투 8.04로 설치하면서 사라졌던 iFolder 클라이언트를 서둘러 다시 설치했습니다. 패키지가 없기 때문에 소스를 직접 빌드해야 하지만,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2008년 4월 27일

우분투 8.04 한국어 글꼴 설정

우분투 8.04에서 한국어에 대한 글꼴을 설정하는 팁이 있어서 담아둡니다.

http://ubuntu.or.kr//viewtopic.php?f=11&t=171

포럼 글타래에서 소개하고 있는 명령어에는 confavail 이라고 나오는데, conf.avail이 맞겠죠? 저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적용해 보았습니다.

cd /etc/fonts/conf.d
sudo ln -s ../conf.avail/29-language-selector-ko-kr.conf
sudo ln -s ../conf.avail/52-languageselector.conf
sudo ln -s ../conf.avail/69-language-selector-ko-kr.conf

글꼴 설정 파일을 링크하고 X 윈도우를 다시 시작하니 한국어 글꼴은 잘 선택되어 나옵니다. 그런데, 영어도 한국어 글꼴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것이 조금 아쉽습니다. 예를 들어, 터미널에서 영어는 영어 전용 글꼴로 나오고 한국어는 은돋움으로 나오면 좋을텐데, 지금은 영어도 은돋움으로 표시가 됩니다. 방법이 있겠죠?

2008년 2월 25일

emacs trunk의 xft지원과 우분투 emacs-snapshot

최근에 xft 지원을 포함한 emacs-unicode-2 브랜치가 trunk로 병합되었다고 합니다. 혹시나 우분투 emacs-snapshot에서 xft를 지원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설치를 해보았지만, 아직 xft를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여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 버그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ishlist: Xft/Freetype support

하지만, 우분투에서 xft를 지원하는 emacs를 빌드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이 trunk 소스를 내려 받아 '--enable-font-backend' 옵션으로 구성하고 빌드하면 됩니다.

$ cvs -z3 -d:pserver:anonymous@cvs.savannah.gnu.org:/sources/emacs co emacs
$ ./configure --enable-font-backend
$ make bootstrap
$ make

빌드를 마치면 '-fn' 옵션으로 원하는 글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emacs -fn "Bitstream Vera Sans Mono-13"

2008년 2월 22일

우분투에서 GDM 배경색 지정하기

우분투에서 주 메뉴의 'System > Administration > Login Window' 항목을 실행하면 GDM 로그인 윈도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대화 상자의 두 번째 'Local' 탭에서는 로그인 창의 테마와 배경색을 지정할 수 있는데요, 우분투에서는 여기에서 지정한 배경생과 상관 없이 항상 황토색을 표시하는 버그가 있습니다.

이 버그를 해결하려면 /etc/gdm/PreSession/Default 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을 찾아

# Default value
if [ "x$BACKCOLOR" = "x" ]; then
BACKCOLOR="#dab082"
fi

다음과 같이 바꾸면 됩니다.

# Default value
if [ "x$BACKCOLOR" = "x" ]; then
BACKCOLOR="x"
fi

2008년 2월 21일

우분투에서 발생하는 파이어폭스 configure 스크립트 오류

우분투에서 파이어폭스를 빌드하려는데 configure 스크리트에서 갑자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이 오류는 우분투의 bin/sh이 bash가 아니고 dash로 연결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ls -la /bin/sh
lrwxrwxrwx 1 root root 4 2007-10-11 22:22 /bin/sh -> dash

$ make -f client.mk build
...
./configure: 1207: Syntax error: Bad substitution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bin/sh을 bash로 연결하거나 configure 파일을 열어서 첫 줄에 있는 #! /bin/sh 을 #! /bin/bash 로 고쳐주면 빌드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분투에서는 왜 bash가 아닌 dash로 bin/sh을 링크할까요? 그 이유는 아래 위키페이지에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DashAsBinSh/Spec